국립박물관단지
건립목적
국민들의 높아지는 문화수요에 부응하고 도시의 자족기능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문화균형발전 기여
-
마스터플랜 디자인
- 전통 궁궐 및 마당을 모티브로한 자연 속 박물관의 개념을 통해 주변 자연환경 및 도시경관과 어우러진 다양한 공간을 연출
-
주요시설
- 박물관(5개) : 어린이박물관, 도시건축박물관, 디자인박물관, 디지털문화유산센터, 국가기록박물관
- 통합시설 : 통합운영지원센터, 통합수장고
조감도
위치도
- 2011.12
국립박물관단지 기본계획 수립
- 2012.06
차관급 MOU협약 체결
- 2015.02
예비타당성 조사 완료
- 2015.02
국립박물관단지 마스터플랜 당선작 선정
- 2017.12
어린이박물관 및 통합시설(1차) 설계 착수
- 2020.07
어린이박물관 및 통합시설(1차) 설계 완료
- 2020.12
어린이박물관 및 통합시설 1차 착공
도시건축박물관 및 통합시설 2차 설계 착수 - 2022.03
디자인박물관 및 디지털문화유산센터 설계 착수
- 2023.04
‘행정중심복합도시 국립박물관단지 통합운영지원센터 (법인)’ 설립
-
세종특별자치시 S-1생활권
문화시설용지(S-1블록) -
2016년 ~ 2028년
-
1구역 : 75,402㎡
2구역 : 121,626㎡ -
약 4천5백억원
박물관단지 사업 개요
시설명 | 건립목적 | 사업비 | 연면적 | 운영기관 |
---|---|---|---|---|
어린이박물관 및 통합시설 (통합운영지원센터, 통합수장고) |
미래세대 문화향유 및 창의인재 육성 | 1,552억원 | 31,260㎡ |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|
도시건축박물관 | 국가건축산업 역량 강화 | 1,167억원 | 17,286㎡ | 국토교통부 |
디자인박물관 | 한국 디자인의 발전상 조명 | 803억원 | 14,950㎡ | 문화체육관광부 |
디지털문화유산센터 | 문화유산보존 및 문화기술 향상 | 497억원 | 9,080㎡ | 문화재청 |
국가기록박물관 | 국가적 기록유산 전시·문화공간 조성 | 449억원 | 8,794㎡ | 국가기록원 |